충남도가 설립을 추진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 설립 방향과 규모, 시기 등이 제시됐다.

도는 18일 충남도서관 다목적실에서 김용찬 도 행정부지사와 자문교수, 관계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임신‧분만 취약지 출산 지원 방안과 공공산후조리원 설립 타당성 마련을 위해 충남여성정책개발원과 함께 지난 3월부터 진행 중이다.

최종 보고된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도내 민간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과 태안 등 2개 지역이며, 분만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태안·계룡·부여 등 6개 시·군, 산후조리원이 없는 곳은 10개 시·군으로 확인됐다.

분만산부인과는 천안 16곳을 비롯해 총 33곳, 산후조리원은 5개 시·군 16개소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도내 임산부 32.4%는 거주지 외 산부인과로, 7.9%는 타 시·도 산부인과로 이동, ‘원정 산전 관리’를 받았다.

또 2017년 기준 1만 5670명의 산모 중 도내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4997명, 31.8%로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서도 도내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35.9%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타 시·도 산후조리원을 이용(15.1%)하거나, 친정·시부모댁(35.9%) 등에서 산후조리를 했다.

전국 평균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73.4%, 농촌지역은 평균 54.4%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도내 분만 취약 10개 시·군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임신·출산 여성 2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61.4%가 공공산후조리원이 설립되면 적극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시에는 △산후조리 비용 △쾌적한 시설과 환경 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감염 예방 등 안전관리와 △종사자의 전문성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충남여성정책개발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가 민선7기 공약 사업으로 설립을 추진 중인 충남공공산후조리원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원거리 산후조리 어려움 해소 △산후조리 비용 부담 경감 △공공산후조리 편의시설 및 올바른 산후조리 서비스 모델 제공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설치 시기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 불편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추진방안을 마련해 조속한 시일 내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추진 방식으로는 △도 공모 사업을 통한 재정 지원 및 시·군 협력 추진을, 설치 규모는 △설치 대상지 인근 시·군의 임산부 규모를 고려해 15∼20실을 제시했다.

김용찬 부지사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임산부에 대한 맞춤형 출산지원정책도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그동안 추진해 온 임신·출산 지원 사업을 재진단해 출산율 제고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남뉴스큐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